이 포스팅에선 등산이나 아웃도어 활동 중 지켜야할 규칙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. 이미 알고 계신 내용들이겠지만, 우리가 잘 쓰고 후손에게 물려줘야 할 자연이니 꼭 실천을 해야겠습니다. 규칙엔 몇 가지가 있지만, 대원칙은 흔적 없이 되돌아오는 것입니다. 그러면 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산에서 지켜야 할 규칙 4
①물을 오염시키지 말자
▶ 샘이나 계곡을 절대 오염시키지 않는다.
▶ 계곡이나 강에서 비누나 샴푸로 머리를 감지 말자.
▶ 쌀뜨물 등 음식 준비를 하면서 생긴 구정물은 계곡에서 20~30m 이상 떨어진 흙 속에 묻는다.
▶ 식사 후의 설거지는 두루마리 화장지로 닦아내는 것으로 초벌을 끝낸다.
▶ 재벌은 뜨거운 물이나 커피 등을 마신 뒤에 처리하면 깔끔하게 닦을 수 있다.
②쓰레기는 모두 갖고 내려오자
▶ 등산 중에 생긴 모든 쓰레기는 반드시 가지고 내려온다. 귤껍질, 사과껍질 등은 동물이 먹는다며 버리는 사람이 있는데, 야생 동물이 그런 것을 먹지도 않거니와 음식물 쓰레기를 먹는 것은 생태계에도 도움이 안 된다.
③동식물 채집을 하지 않는다
자연의 식물은 어느 한 사람의 소유가 아니다. 아무리 예쁜 꽃, 희귀한 식물이라도 한 포기도 건드리지 말자. 사진에 담아서 보관하면 된다. 또 보호지역의 돌도 함부로 가져가선 곤란하다.
④정규 등산로를 벗어나지 않는다
▶ 인적이 많은 산에서 길이 아닌 길로 다니면 나지화(裸地化)가 진행되어 자연파괴의 원인이 된다.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등산로를 벗어나지 않는 게 좋다.
LNT(Leave No Trace)7 운동
▶ LNT는 ‘Leave no Trace’의 약칭이며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운동으로 자연을 방문할 때 ‘흔적 안 남기기’ 지침을 의미한다.
▶ 1991년 미국 산림청과 전국 아웃도어 리더십 학교(NOLS)에서 자연에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는 야외활동 기술에 대한 지침이다.
▶ 장소와 상황에 관계없이 모든 야외활동에 적용시켜야 하는 필수적인 원칙이다.
흔적 안 남기기 7가지 수칙
①미리 충분히 준비하고 계획한다.
▶ 방문할 지역에 대해 특이사항과 정보를 파악한다.
▶ 극심한 기후, 위험, 응급상황에 대비해 준비한다.
▶ 가능하다면 최소의 인원으로 팀을 구성한다.
▶ 음식물을 최소화하여 쓰레기를 줄인다.
▶ 방향 지시를 위해 케언(cairn), 표식기, 페인트 등을 쓰지 말자.
②지정된 지역(단단한 땅 표면)에서만 걷거나 캠핑한다.
▶ 지정된 지역이란 정비된 탐방로, 캠핑장을 말한다.
▶ 계곡이나 호수로부터 약 60m 이내에서의 야영을 피하자.
▶ 기존의 정비된 탐방로와 야영지를 최대한 이용한다.
③ 배설물이나 쓰레기는 올바른 방법으로 처리한다.
▶ 용변을 볼 때는 물길, 야영지에서부터 200보 원칙을 지키자.
▶ 대변은 깊이 20c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묻는다.
▶ 쓰레기는 모두 남김없이 되가져온다.
▶ 아무 것도 남기지 않고 아무것도 가져오지 않는다.
④ 있는 것은 그대로 보존한다.
▶ 역사적 구조물(유적지)과 인공물에 손대지 않는다.
▶ 바위, 식물 등 자연물들은 있는 자리에 그대로 남겨 놓는다.
⑤ 불 사용을 최소화한다.
▶ 캠프파이어를 최소화한다.
▶ 모닥불 대신 스토브를 쓴다.
▶ 지정된 장소에서만 한다.
▶ 부득이 불을 피워야 할 경우 산불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한다.
▶ 불 피운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.
⑥야생 동식물을 보호하고 존중한다.
▶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다.
▶ 이들에게 먹이를 주면 야생에 적응하는 본능을 해쳐 결과적으로 해롭다.
▶ 번식기, 둥지짓기, 새끼 키우기 또는 겨울나기와 같은 시기에는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피한다.
⑦다른 사람을 배려한다.
▶ 다른 방문자들을 존중하고 그들이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보호한다.
▶ 오르막길에서 무거운 배낭을 진 사람과 만났을 때는 내려오는 사람이 길을 양보한다.
▶ 휴식과 야영은 탐방로와 다른 방문자에게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한다.
▶ 자연의 소리를 느낄 수 있도록 큰 목소리나 라디오 같은 소음을 내지 않는다.
팁) 자연보호헌장 실천 사항 7
①자연을 사랑하고 환경을 보전하는 일은 국가나 공공단체를 비롯한 모든 국민의 의무다.
②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적,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연은 인류를 위하여 보호되어야 한다.
③자연 보호는 가정, 학교, 사회의 각 분야에서 교육을 통하여 체질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
④개발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신중히 추진되어야 하며, 자연의 보전이 우선 되어야 한다.
⑤온갖 오물과 폐기물과 약물의 지나친 사용으로 인한 자연의 오염과 파괴는 방지되어야 한다.
⑥오손되고 파괴된 자연은 즉시 복원하여야 한다.
⑦국민 각자가 생활 주변부터 깨끗이 하고 전 국토를 푸르고 아름답게 가꾸어 나가야 한다.
오늘은 산이나 자연에서 우리가 지켜야할 행동 규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우리 모두 소중한 자연을 잘 보존해 후손에게 물려줘야 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등산장비 텐트 연구 기초 탐구
골수 등산인, 트레커, 백패커 중에는 아웃도어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야영생활의 낭만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. 야영의 필수품인 텐트는 계절과 사용 목적에 따라 형태 차이가 매우 크다.
outdoorworld.tistory.com
저체온증 원인, 증상, 응급처치, 예방법 탐구
저체온증은 등산 등 아웃도어 활동 중 발생하기 쉬운 질병입니다. 특히 비에 젖거나 갑자기 찬바람을 맞으면 체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데, 이때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저체온증에 걸릴 수
outdoorworld.tistory.com
'등산과 캠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등산 교실 _ 등산 배낭 선택 요령, 용량, 등판, 꾸리는 법 바로 알기 (0) | 2022.04.18 |
---|---|
등산화 기능, 구성 요소, 종류, 분류, 선택 요령 (0) | 2022.04.17 |
등산 스틱 사용법, 재질, 단수, 길이, 잡는 법 탐구 (0) | 2022.04.16 |
등산 보행 방법 _ 플래트풋, 휴식법, 심장 박동수 (0) | 2022.04.16 |
등산의 기초 - 보행법, 4:3:3법칙, 속도, 호흡, 상체 움직임 (0) | 2022.04.16 |
댓글